[더 좋아진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나이, 소득기준), 이자와 비과세 혜택, 취급은행, 특별중도해지 조건 소개! 환산금리 8%

포스팅 소개!

안녕하세요. 우기자(Woopress)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더 좋아진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나이, 소득기준), 이자와 비과세 혜택, 취급은행, 특별중도해지 조건 소개! 환산금리 8%’입니다. 대통령 공약 사항 중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대표적인 혜택이 있다면, 누구나 한번은 들어보았을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세대의 공정한 도약의 기회 보장을 위해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으로 사회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럼 청년도약계좌의 가입대상은 어떻게 되고 실제 청년들에게 어떠한 혜택이 있는지! 청년도약계좌에 대하여 하나하나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대상은 청년입니다! 가입 대상을 구분하는 첫 번째 조건은 나이와 소득활동입니다.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고자 하는 시점에 나이가 만 19세~만 34세 이하이며, 직전 과세 기간에 중위소득 250%이하의 소득 활동이 확인되어야 합니다!

나이와 소득 기준에는 각각 1가지 알아두면 좋은 점이 있습니다. 병역이행을 한 청년의 경우에는 최대 6년까지 가입 기간이 연장된다는 점! 즉, 병역 기간 2년을 군 복무하신 분은 최대 가입연령이 2년 연장되어, 만 19세 ~ 만 36세 이하이면 가입 대상이 됩니다!

소득 기준의 경우 청년도약계좌가 최초로 만들어졌을 당시 기준인 가구소득 중위 180%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실제로 만 34세에 가까이 있는 청년일수록 소득 기준을 초과하여, 안타깝게도 청년도약계좌 대상에서 탈락한 경우가 은근히 많이 있었습니다.

소득 기준을 초과하여 가입을 못하셨던 분들이라면, 이번에 다시 재도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찾아왔습니다! 2024년 청년도약계좌의 달라진 점 중 대표적인 것이 소득기준의 개선이기 때문입니다. (중위소득 180% 이하에서 250% 이하로 개선!!)

가구원수기준 중위소득 250%(연)
1인 가구58,344,360
2인 가구97,802,550
3인 가구125,841,030
4인 가구153,632,400
5인 가구180,735,450
6인 가구207,210,120
7인 가구233,417,760
<참고: 2022년 기준 중위소득 250%>

가입기준1. 만 34세이하(단, 병역기간만큼 나이가 연장됩니다!)
가입기준2. 중위소득 250%이하!(24년도 개선사항이에요!)

2. 청년도약계좌 이자 및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가입기간 60개월동안, 월 최대 70만원까지 납입가능항 자율적금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시중은행마다 조금씩 다른 우대금리를 적용하여 4.5%~6.0%의 금리가 적용됩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3년 이후에는 3년 후 금리로 변경된다는 점입니다!

적용금리가 4.5%~6.0%라고 하면 요즘같은 고금리시대에는 좀 약한 느낌이 강합니다. 청년도약계좌가 처음 만들어졌을 당시에는 파격적인 금리였지만, 시중 금리가 급격하게 올라버린 현 시점에서는 금리만 놓고 보면 크게 매력적이지 않은 상품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에 대하여 말씀드려보고자 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장 큰 혜택은 정부기여금 지급과 비과세혜택 그리고 자율적금!입니다!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에서 소득구간별 기여금을 지원해 주는 정부기여금과 본인납입금액에서 발생한 모든 이자를 비과세로 적용한다는 것이 청년도약계좌 주요 혜택입니다! 추가로, 5년이라는 중장기 기간 동안 유지하기 좋은 자율적금이라는 점도 아주 좋은 혜택입니다!

개인소득 기준지급한도매칭비율정부기여금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40만원6.0%24,000원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50만원4.6%23,000원
총급여 4,800만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60만원3.7%22,200원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70만원3.0%21,000원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Tip. 심심해서 비교해 본 청년도약계좌 이자 효과!

정부기여금 매칭비율이 가장 비효율적인 총급여 6,000만원 이하로 가정하여 매월 70만원의 개인부담금과 2.1만원의 정부지원금을 연 5.5%의 금리(비과세)로 이자를 계산해 보았습니다. 만기 시 받을 금액은 4930만원입니다!

정부기여금 없는 일반과세로 동일하게 매월 70만원의 개인부담금으로 4,930만원에 해당하는 적금금리를 계산한 결과 금리8.09!!입니다!!! 역대급 볼 수 없는 최고 금리입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소득기준별 환산금리를 계산해 보았습니다. 소득별 이자 효과는 8.09%~9.68%입니다! 만기금액은 5년 동안 끊임없이 최대 금액을 납부한다는 가정이기 때문에, 납부 금액에 따라 만기금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실제 보이는 은행금리와는 다르게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고려한 환산금리는 고금리인 것이 확인됩니다!(계산된 결과 요약은 아래의 표로 확인해 주세요~)

개인소득 기준개인부담금정부기여금은행금리환산금리만기금액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40만원2.4만원5.5%9.68%2,899만원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50만원2.3만원5.5%8.94%3,576만원
총급여 4,800만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60만원2.2만원5.5%8.44%4,253만원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70만원2.1만원5.5%8.09%4,930만원

3.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취급은행)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매월 취급은행 앱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은 웬만한 은행은 모두 다 입니다. 더군다나 취급은행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으로, 아마 우리가 거래하는 은행 중 적어도 하나는 무조건 있을 만큼 많은 은행에서 취급하고 있습니다.

  • 기업은행: 기본 4.5% 최고 6.0%
  • 국민은행: 기본 4.5% 최고 6.0%
  • 농협은행: 기본 4.5% 최고 6.0%
  • 신한은행: 기본 4.5% 최고 6.0%
  • 우리은행: 기본 4.5% 최고 6.0%
  • 하나은행: 기본 4.5% 최고 6.0%
  • IM 뱅크: 기본 4.0% 최고 6.0%
  • 경남은행: 기본 4.0% 최고 6.0%
  • 부산은행: 기본 4.0% 최고 6.0%
  • 전북은행: 기본 3.8% 최고 6.0%
  • 광주은행: 기본 3.8% 최고 6.0%

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

4. “더 좋아진” 청년도약계좌

더 좋아진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를 추천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점점 더 좋아지고 있는 상품이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가구소득이 중위 180%에서 250%로 개선된 점 그리고 혼인, 출산의 경우 특별중도해지가 가능하게 변경되었다는 점은 “순수하게 더 좋아진 내용”입니다.

그 외에도 비과세 혜택 기간이 3년으로 줄어들었지만, 3년 후 비과세혜택은 정부기여금이 60%수준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5년을 유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서민진흥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포스팅을 마치며!

지금까지 ‘[더 좋아진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나이, 소득기준), 이자와 비과세 혜택, 취급은행, 특별중도해지 조건 소개! 환산금리 8%’에 대하여 이야기 해 보았습니다. 단순히 4.5~6.0%의 비과세 금리라는 표면적인 금리에 속지마시고, 정부지원금과 비과세가 결합하면 실제로 얼마만큼의 금리에 해당되는지 잘 생각해본다면,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이전에 소득기준으로 가입을 못한 분이라면, 지금 바로 재도전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리고, 만 34세에 가까워진 분이라면 우선 복잡하게 생각하다가 가입시기를 놓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가입 먼저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이야기를 함께 공유하며, 발전해 나가는 우기자 블로그(Woopress Blog)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